본문 바로가기
기타

[중국역사 14] 초한지(楚漢志)-진나라 멸망의 도화선, 중국 최초의 농민운 진승, 오광의 난, 한나라(漢) 건국 과정 1

by 막장life 2024. 2. 1.
반응형

진나라(  ) 멸망의 계기와 한나라 건국과정

 

진승(陳勝), 오광(吳廣)의 난

 

 

 

 

진나라 멸망의 도화선, 중국 최초의 농민운동  진승, 오광의 난

 

진승(陳勝: ?~BC 208)오광(吳廣: ?~BC 208)은 중국 최초의 농민운동가이며 그들이 주도한 농민봉기는 중국역사상 최초의 농민전쟁이다. 진시황 통치 말기에 가혹한 정치를 더이상 견디지 못한 백성들은 전국 도처에서 반기를 일으켰으며, 6국의 잔존 귀족세력들도 그러한 틈을 타서 반진(反秦)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BC 218년(진시황 29년)에 진시황은 동쪽으로 순찰을 나갔다가 박랑사(博浪沙: 지금의 하남성 중모(中牟) 서북)에서 자객의 저격을 받기도 하였던 것이다. 진시황이 사구(沙丘)에서 병사한 후 진이세(秦二世) 호해(好亥)가 즉위하였으나, 부패무능한 진이세의 학정과 이때 실권을 장악한 환관 조고(趙高)의 전횡으로 백성들은 더 심한 고통에 시달리게 되었다. 형을 받은 자가 도로의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죽은 자들이 날마다 저자거리에 쌓여갔다. 진시황의 옛신하들과 진왕실의 친족들도 조고의 모함으로 대부분 살해되어 통치권 내부에도 심각한 불안이 조성되었다.

 

 

노역에 시달리는 백성들

 

 

진이세 원년(BC 209) 7월, 진승과 오광은 빈민 900명과 함께 징집되어 어양(漁陽: 지금의 북경 밀운현(密雲縣) 서남)을 수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원래 빈민들은 징집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계속된 징집으로 부족해진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서 마구잡이로 징집을 한 결과였다.

 

진승은 河南(하남) 출신으로 字(자)가 涉(섭)이므로 진섭이라고도 부른다. 그는 집이 가난하여 머슴을 살았다. 당시의 머슴은 노예나 노비의 신분이라기보다는 남에게 고용된 농업노동자라고 이해하는 편이 옳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의 노동력을 고용하여 농업경영을 하는 방식이 이미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의 농촌경제가 매우 오래전부터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었음을 반영하고 있다.

 

오광도 진승과 같은 하남 출신으로, 역시 매우 가난한 농민이었다. 이들 두 사람은 진시황의 아들이 황제를 계승한 기원전 209년에 변방으로 징발됐다. 이들이 가게 된 곳은 지금의 북경(北京)에 가까운 지역으로 당시는 주로 가난한 이들만 변방수비를 위해 동원됐다. 그러나 미처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홍수를 만나 길이 막힌 그들은 도저히 기한 내에 도달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렀다.

 

당시의 법은 정해진 시일 안에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무조건 처형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진승과 오광은 "지금 도망가도 죽고, 봉기해도 죽을 수 있다. 이왕 죽는 것이 마찬가지 일 바에는 난을 일으켜 나라를 위해 죽는 편이 낫다"고 결심하기에 이렀다.

 

"왕후장상(王侯將相)이 어찌 처음부터 따로 있겠는가?" 진승은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 국호를 장초(張楚)로 정했다. 자신의 행동이 전국시대의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한 것임을 천명하기 위해서였다. 장초는 중국 최초의 농민정권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봉기한 지 얼마 안되어 농민군은 정부군에 진압됐다. 애초 진승의 농민군은 두 개의 대열로 나누어 진격했다. 진승은 본부대에 잔류하고, 오광은 병력 일부를 이끌로 서쪽으로 나갔다. 오광의 부대는 곧 정부군 지도자를 내세워 수도로 돌진했다. 그로나 예기치 않던 정부군의 습격을 받아 주문(周文)과 오광 양부대는 대패하고 말았다. 승기를 놓친 진승은 BC 208년 12월, 농민군 내주의 반도에 의해 피살됐다.

장초군의 진격로 (출처 : 네이버)

 

 

봉기한지 1년여만에 중국 최초의 농민운동은 종지부를 직었던 것이다. 진승과 오광은 실패했지만, 이들은 진의 멸망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그들이 반란한 틈을 이용하여 전국 각지의 귀족세력, 특히 통일전 진나라와 자웅을 겨루던 나머지 6국의 후예들이 진에 반기를 들었던 것이다. 특히 항우(項羽, BC 232~202)와 유방(劉邦, BC 256~195) 두 인물이 등장하여 패권을 겨루다가 결국 BC 206년 진이 붕괴하고 한나라가 탄생했다.

 

 

 

 

 

 

 

 

 

 

반응형